인물 일러스트삽화

갤럭시탭 손가락으로 그린 인물화

청솔아트 2019. 2. 27. 10:05

종이와 붓을  들고  다니는 것도 귀찮아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화면을  문지르는  괴상한 손가락 그림 화가가  탄생하다 ?​


그냥  마음 내키는대로 그려보는 것이다.

'내가 그리고 싶은 만큼 행복하면 된다 '

나는 고인이 된 화가 밥로스가 했던 말의 의미를 오늘도 생각하면서

마음의 평화를 찾아본다

누구나 그림 그릴 수 있는 종이와 연필에서 스마트폰이나 탭으로 넘어고 있다

이 세상 최고의 발명품인 스마트폰에서 손가락과 함께 낙서나 실컷 하자

 매일매일

그냥 무언가를 기다리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한다는 것은 즐겁고 생각을 다루는데 효율적이다

그때그때 간단히 손으로 스케치를 할 수 있는 능력은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연습하기 가장 좋은 것은 뭔가를 보고 따라 그리는 것이 재미있다.

사진을 클릭하면 그리는 과정의 3배속영상이 보입니다




 

참고자료


일러스트삽화의 정의 (2)

삽화는

모든 대상을 포함한 3차원적 세계를 언제나 2차원적 그림 위에 묘사하는 것을 본질로 해야 한다.

삽화의 근본수단은 색에 의존한다.
 이러한 바탕 위에 대상표현에서 원근법과 명암의 음영법의 수단으로 한다.
 현장 실정을 반영하고 평면 위에 대상을 표현하는 것을 본래의 과제인 것이다.

(1) 빛 : 삽화는 눈을 위한 형성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우리의 시각체험을 구성하는 세가지 요소, 즉 빛ㆍ색ㆍ형은 삽화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빛은 물리적 성질상 단독으로보다는 대체로 형이나 색과 결합해서 의식된다.
 빛과 형과의 관계는 명암이라는 기법의 원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사물의 고유색이나 예리한 윤곽선보다도 빛과 그림자, 빛과 어둠이 사물의 형태에 미치는
 미묘한 변화에 따라 형체감, 깊이감 들을 나타내는 기법이다.
빛과 색과의 관계는 여러 종교들에 의해 신적인 것의 물리화로서 혹은
 그것의 상징으로 여겨져 빛의 효과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여,
 현재 빛이 소멸되면 화면의 존재 자체도 없어진다는 이론과 색채가 인간에게 미치는 심리학적 실험으로 이어지고 있다.

(2) 색 : 여러 가지 색은 명도ㆍ채도ㆍ색상의 세 측면으로부터 그 특성을 규정할 수 있다.
 명도는 색에 있어서 빛의 정도(명암의 정도)이며,
채도는 일정한 색조의 색에 있어 회색의 함유량에 따라 정해지는데
 회색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상태를 순색이라 한다.
색채가 일정한 감정내용과 상응하여 나타나는 데, 예를 들어
파랑계통의 찬색과 빨강계통의 따뜻한 색은 감정효과를 달리한다.
노랑은 명랑ㆍ쾌활ㆍ유연, 파랑은 자극적인 허무ㆍ자극과 평정의 모순,
 빨강은 진지함과 위엄ㆍ사랑 등으로 느껴진다.

(3) 선 : 삽화에 있어서 선은 형태를 이루는 기본적인 요소이며,
소묘처럼 색과 분리되어 독립된 분야를 가질 수 있다. 선은 형의 윤곽색이 존재할 뿐 아니라,
 면의 성격을 결정하고 방향을 지시하며
때로는 약간의 선을 이용하여 생각지 못했던 변화를 갖게 하는 등 화면 전체의 효과에 기여할 때가 많다.

(4) 형 : 형의 구성요소로는 점ㆍ선ㆍ면ㆍ입체가 있고, 일정한 사물의 형태에 관해서 윤곽
 내부형(한 형의 내부에서 그 각 부분들 간의 한계),
구조형(형을 구성하는 사물의 물질적인 상태나 구조에 따라 보이는 것)이라는 세 가지 현상형태가 있다.

(5) 원근법: 선원근법- 3차원적 연장을 갖는 공간을 평면 위에 나타내기 위한 보다
 단순한 표현방식으로 하나의 대상으로 보다 멀리 있는 다른 대상의 일부분을 가리는 것이다.
대상은 우리의 눈에서 멀어질수록 작게 보이기 때문이다.
공기원근법- 대기의 작용으로 대상이 눈과 멀어짐에 따라 따뜻한 색이 푸른색에 가까워지고 윤곽이 불명료하게 되며,
 명도가 낮아지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 원근감을 나타낸다.
색원근법- 같은 평면 위의 색이라도 붉은색ㆍ노랑계통의 색은 전진색, 청색계통은 후퇴적으로 느껴지는 점에서,
 이러한 색감에 의한 공간표현에 이 말을 사용할 때가 있다.
역원근법- 동양이나 비잔틴 회화 등에서 사용되는데,
평행선을 앞쪽을 향해 단축시켜, 소실점이 지평선상이 아니라 관찰자 자신에게 있는 것처럼 그리는 방법이다.

(6) 구성ㆍ구도 : 삽화는 일정한 범위 안에서 현실의 공간과는 다른 공간을 "구성"하지 않으면 안 된다.
삽화에 있어서의 화면 구성을 특히 구도라고 말한다.
 구도란 화면 위의 여러 형상들의 배치, 원근법, 명암, 색감 등을 고려하여 화면에 밀도나 긴장도가 높은 통일성을 부여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