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2. 29. 17:21ㆍ사진쟁이 길을 나서다[저작권]
수표교는 광통교와 더불어 서울에서 가장 유명한 다리였다
길이 27.5미터이며 너비는 8.3미터이다 .
세종2년 1442년에 축조 되었는데 1958년 청계천 복개로 인해 장충단 공원으로 이전을 했으며
수표도 청량리 세종대왕 박물관으로 이전을 하면서 세상 사람들로 부터 잊혀져 가고 있다 .
수표교는 1441년(세종 23)에 다리 옆에 개천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서
수표를 세운 이후부터는 수표교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주변에 있는 마을은 수표동 이라고 부르게 되었다.수표는 하천수위를 과학적, 계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구로 측우기와 함께 세종 때 만들어진 대표적인 과학 기기의 하나이다.
수표는 청계 천의 마전교 서쪽과 한강변에 세워졌는데,
처음에는 물 속에 돌을 놓고 그 위에 구멍을 파서 나무로 만든 기둥을 세웠다.
나무기둥에는 눈금을 새겨 수위를 알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나무로 만든 수표는 쉽게 망가져 15세기 성종 때 돌기둥으로 교체하였다.
돌기둥 양면에는 1척에서 10척 까지 눈금을 새겼으며
, 다시 3·6·9척에는 ○표를 파서 각각 갈(소)수·평(중)수·대수를 헤아리는 표지로 삼았다.
즉 6척 안팎의 물이 흐르면 보통의 수위였으며,
9척 이상이 되면 위험 수위로 개천의 범람을 미리 헤아릴 수 있도록 하였다.
수표교 다리 사진개천은 건천으로 평상시에는 물이 조금 밖에 흐르지 않았으나
도성 안에서 흐르는 모든 지천의 물이 개천으로 몰려들었기 때문에 비가
조금만 와도 물이 범람 할 정도로 유량의 변화가 매우 심하였다.
수표에 표시된 1척은 대략 20.3cm 정도로 9척의 경우 수위가 183cm 정도이나
비가 올 때 개천 물이 이 정도까지 차 오르는 것은 순식간이었다.
수표교 옆에 수표가 설치된 이후 수표교는 개천의 수위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었으며,
담당 관청을 정하여 정기적으로 개천의 수위를 측정하여 임금께 보고하도록 하였다.
수표는 성종 때 돌기둥으로 교체된 이후 1760년 경진년 개천을 준설할 때 보수되었으며,
순조 때 개천을 준설할 때 새로 만들어 세웠다.
지금 남아 있는 수표는 바로 이때 만들어 진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I0PmWz75n3I
수표교 역시 세월이 지나면서 수 차례 보수되었다.
다리 한쪽 귀틀석에 '무자금영개조`라고 새겨져 있는데,
정확하게 언제인지는 알 수 없으나 무자년과 정해년에 각각 다리를 보수했다는 내용이다.
또한 당초 수표교에는 난간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수표교의 옛 모습을 담은 사진을 보면 1890년경에는 다리 위에 돌난간이 없었다가
18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지금과 같은 돌난간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한다.
아마도 도성의 인구가 늘어나고 더불어 수표교를 건너다니는 사람들의 수도 늘어나면서
사람이 떨어지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자 다리에 난간을 추가로 설치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수표교는 광통교와 함께 청계천에 있던 가장 유명한 다리로 다리밟기, 연날리기 등이 행해지던
대표적인 민속놀이 공간이었으며, 사람의 통행이 많았던 만큼 재미있는 이야기도 많이 전해진다.
특히 수표교에는 숙종과 장희빈의 만남에 관한 이야 기가 남아있다.
조선시대수표교 는 남부 훈도방에 있는 영희전(지금 중구 저동 2가)으로 가는 통로이기도 하였다.
영희전은 임금의 영정을 봉안하는 곳으로 설, 한식, 단오, 추석, 동지,
섣달 그믐날 등 명절이 되면 임금이 이곳을 전배하였다.
따라서 명절 때 임금의 어가행렬이 이 다리를 지날 때면 다리 주위에 구경꾼들이 발 디딜 틈 없이 북적거렸다고 한다.
어느 날 숙종이 영희전을 전배하고 돌아오는 길에 수표교를 건너다가
부근 여염집에서 문밖으로 왕의 행차를 지켜보던 아리따운
아가씨를 보고 마음에 들어 궁궐로 불러 들였는데, 그가 바로 장희빈이었다고 한다.
수표교와 수표는 청계천이 복개되기 직전까지 비교적 완벽하게 남아있었다.
성종과 장희빈이 만나던 수표교
청솔아트[청솔의 세상스케치]
tv.naver.com
'사진쟁이 길을 나서다[저작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산 삼막사의 남근석 여근석에 대하여 (0) | 2022.11.09 |
---|---|
만화 박물관[부천]에는 우리나라 만화의 역사를 알수있다. (0) | 2022.10.06 |
대한민국 명품 특산물 페스티벌 (0) | 2022.07.17 |
2022년 건축 박람회[수원 메쎄]를 다녀왔습니다 (0) | 2022.05.29 |
백만송이 장미공원은 2022년에도 출입 통제 (0) | 2022.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