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그림 /캘리붓으로 그린 사군자 국화

2020. 6. 27. 11:24청솔의 수묵화

현대 한국화 사군자 국화그리기 

 

조선조 중기이후 채국(채색 국화도)으로 등장한 우리나라 국화는
고절한 선비들의 사랑을 받으며 묵화로 더 빛을 발한것 같다,
그도 그럴것이 국화의 생태와 절기를 사랑하는 선비들이니
 그 빛갈을 탐 했을리 없고 그져 마음 가는데로 쳐서 
족자나 병풍에 절기를담아 가까히 하려 했을것이니 시 쓰던 붓으로 
그 정절을 화선지에 옮기고 홀로즐겼을 것이다.
따라서 수묵 국화도는 화려함 보다 오히려 오만스런 자태를 더 높히 본다,
수묵 국화도에는 절개를 높혀 본 한국인의 정신이 담겨야 한다는뜻이기도 하다. 

아래 주소를 클릭하면 그리는 영상이 보입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1CMncI_Cja8

국화는 가을 ,서쪽,의(義)의 뜻이있고 모든 식물이 시들고 낙엽이 지는마당에 
홀로 피는 꽃,서리를 맞아 가면서도 굳게 피는 그 절개를 높히 평가 한다.
오상고절 ,서릿발이 심한 추위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꼿꼿이 꽃을 피우는 국화의 절개,은자의 정절의 상징 국화
국화가 사군자중의 한자리를 차지하여 절기있는 꽃으로 찬양받고 있지만
 국화만을 소재로한 옛 그림은 찾기란 쉽지가 않다.
오히려 그림보다는 시로 더 많은 사랑을 받은것 같기도 하다.꺾꽂이로도
 땅에 뿌리 내리는 강인한 국화는 다른 꽃들이 만발하는 좋은 시절을 참으며 
서리 내리는 늦은 가을에 인내를 꽃 피운다.
이같은 생태를 절개로 보아 온 옛 선비들은 국화를 오상고절이 라며 사랑해 왔다,
현세에서 외면당하는 굳은 지조를 그렇게 비유하며 국화를 아꼈는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