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 말그리기, 강감찬 장군 (낙성대)

2019. 9. 25. 19:06청솔의 수묵화

강감찬 장군이  권력에 욕심이 있었다면

 조선 태조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때 처럼 왕이 될수도 있었을 상황이었다

그당시 거사를 단행하고 과거 거란에 항복했던 간신들을 몰아내고

거란에게  뺏긴   옛 발해 땅을 되 찾고 그 당시부터  싹티운  중국 사대주의를 없에 버렸으면 

훗날  역사는 또 달라 졌을텐데  장군께서 연세(칠순)가  너무 많았던 같다

그 후  강감찬 장군은   스스로 관직에서  물러나  자연과 글을 벗하며  조용히 살았다

 
아래  사진을 클릭하면 그리는 과정의 영상이 보입니다




과거  소손녕이 이끄는 20만 거란군의 1차 침입때  서희의 담판 외교로 물리친것 처럼 교과서에는 써있지만

침입 과정에서  당시 중국 대륙에서도 악랄하기로  유명한  거란군에게  고려의 민초들은 엄청나게  당했다

고려왕조가  더러운 오랑캐민족이라고  상대도 않던 거란족에게  과거 몽고 침입때보다 더많은 고통을 당했다고 한다 

당시   전쟁사의 기록들이  사실대로 쓰여지지를 않았는데  

교과서에는 거란의 1차 침입을 80만 대군이라고 적혀 있지만  그당시 송나라와  중국의 대륙전쟁을 하던

거란이라 그렇게 많은 병력을 보낼수가 없었다

 

 

2차거란의 침공은 소배압이  10만 정예 부대를 이끌고  꼬리를 자르면서

남하를 계속했다  개경 까지만 진격을 하면 1차 전쟁처럼 처럼

           궁성을 열고 항복할줄 알았는데 (사실 현종임금은 신하들의 건의에 따라 궁궐의 대문을 열어 놓았다)   

          고려 20만 주력부대가  멀리 청천강에 포진되어 있어서   궁궐 수비병력은 겨우  몇백명뿐이 였다

          왜 소수만 남겨두고    멀리 청천강까지 갔었는지는 지금도 여러 설 이 있다

          그당시 소배압이  그대로 개경까지 밀고 들어 왔으면 궁궐을 내어 줘야만  했다

          그러나 고려 매복군대(게릴라전)에  의해  몇번  식껍을 하더니

          생각이 변한 소배압이  그만  퇴각을 명 하였다  

          

           원래 등을 보이고 달아나는 적은 그냥  퇴로를 열어 주는게 상식인데

           귀주 벌판 (강이 아니며 귀주대첩에는 수공 격퇴가 아님 →훗날 정정)에서

           강감찬 장군은 달아나는 소배압의  군대를  가다렸다가  속된말로 아주 아작을  냈다 .. 다시는 못쳐들어오게 

   그 마지막 전투에서 죽자고  덤비는 소배압의 10만 군대와 20만명의 고려의 군대가

   서로 밀고 당기기를 수일간    다행이 역풍의 세찬 바람이 갑자기  불어와  화살과 불길이

   적으로 향해서그 싸움에서 승리를 했다고 한다

   살아서 돌아간 거란군이 별로 없었다   고려군도 반토막은 났지만  ..

 

   전쟁에서 승리하고 돌아오는 장군을  현종 임금이 손수 먼길 마중을 나가서

   금으로 만든 꽃을 하사 하였다는 내용,  우리가 초등학교시절 배운 교과서에 쓰인 글귀가 생각이 난다

 

   당시  현종임금은 강감찬 장군을 마중 나가야만 했었다 ..